2026 공무원 봉급표 총정리 - 일반직, 경찰·소방, 교원, 군인월급 까지 한 번에 보는 가이드
2026년은 공무원 보수 체계에서 의미 있는 변곡점입니다. 정부가 2026년 예산안을 의결하며 공무원 보수 인상률을 3.5%로 확정했고, 이에 맞춰 공무원보수규정 별표가 일제히 개정되었습니다.
본 글은 개정된 별표 수치에 따라 - 일반직 공무원, 경찰·소방, 군인, 유·초·중·고 교원 - 네 축의 봉급표 핵심 구간을 숫자 그대로 정리하고, 실무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해석 포인트와 연봉·실수령액 추정 로직, 승급·호봉 운용 팁까지 한 번에 제공합니다.
내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2026 공무원 봉급인상률 3.5%
- 2026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3.5%입니다.
- 2017년 3.5% 이후 9년 만의 최대 인상률입니다.
- 최근 몇 년간 민간 대비 정체되었던 공무원 보수 수준을 보정하려는 정책적 의도가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인상률 3.5%는 **기본급(봉급)**에 우선 반영되며, 연동 구조를 가진 수당·수당성 급여는 각각의 규정에 따릅니다.
- 핵심 포인트
- 인상률은 평균값이므로, 직렬·직급·호봉별 체감 상승폭은 다를 수 있습니다.
- 기본급 인상은 정근수당 등 일부 정률 수당의 기준액에도 영향을 미쳐 연봉 총액을 끌어올립니다.
- 다만 실수령은 세금·4대 보험·기타 공제와 지역·가족·시간외 등 개별 수당에 따라 개인차가 큽니다.
2026 공무원 봉급 인상 배경과 의미
- 공무원 보수는 민간 대비 2020년경 약 90% 수준에서 2024년 83.9% 내외까지 하락했다는 통계가 인용됩니다.
- 공무원노조는 2026년 기본급 6.6% 인상을 요구했으나, 정부는 재정여건과 물가·임금 흐름을 복합 고려해 **3.5%**로 정리했습니다.
- 결과적으로 2026년은 기본급 중심의 체감 회복이 시작되는 원년으로 해석됩니다.
연공-호봉 구조 이해 포인트
- 공무원 급여는 계급(직무등급) × 호봉의 격자 구조입니다.
- 신규 임용자는 통상 해당 계급 1호봉에서 출발하되, 경력 인정 시 우대 호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호봉 승급은 통상 연 1호봉이 원칙이나, 전직·경력·평가·휴직 등 변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동일 인상률이라도 호봉 구간별 절대액 차이로 인해 상위급·고호봉일수록 연간 증가 총액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2026 공무원 봉급표(일반직렬) - 핵심 구간 요약
기준: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3] 2026.1. N. 개정 수치
아래는 대표 계급별 주요 호봉을 뽑아 즉시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한 값입니다. 단위는 원, 월지급액입니다.
9급 - 1등급
- 1호: 2,070,900
- 7호: 2,274,200
- 10호: 2,542,700
- 20호: 3,257,000
- 31호: 3,731,100
8급 - 2등급
- 1호: 2,099,200
- 8호: 2,622,400
- 15호: 3,232,400
- 22호: 3,686,900
- 30호: 4,040,300
7급 - 3등급
- 1호: 2,249,700
- 8호: 2,915,800
- 14호: 3,514,500
- 21호: 4,031,800
- 29호: 4,426,100
6급 - 4등급
- 1호: 2,389,500
- 8호: 3,226,200
- 14호: 3,890,000
- 21호: 4,447,600
- 31호: 4,934,800
5급 - 5등급
- 1호: 2,896,400
- 8호: 3,793,200
- 14호: 4,545,900
- 21호: 5,154,500
- 29호: 5,579,500
4급 - 6등급
- 1호: 3,241,200
- 8호: 4,211,100
- 14호: 5,023,800
- 21호: 5,669,800
- 28호: 6,058,300
3급
- 1호: 3,781,700
- 8호: 4,809,000
- 14호: 5,707,600
- 21호: 6,423,300
- 26호: 6,736,700
2급
- 1호: 4,191,600
- 8호: 5,313,600
- 14호: 6,306,200
- 21호: 7,093,400
- 25호: 7,357,600
1급
- 1호: 4,656,100
- 10호: 6,241,300
- 18호: 7,570,100
- 23호: 8,001,400
실무 팁
- 국회 보좌진·정책연구위원 등 일부 직위는 “해당 계급·호봉 상당액 적용” 규정이 있으니, 실제 급여 산정 시 별표 비고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9급 신규 임용의 경우, 시간외수당·교통보조비·정액급식비·직급보조비·정근수당 등 수당 패키지에 따라 체감 총액이 유의하게 달라집니다.
2026 군인 월급 - 장교·부사관 대표 구간
기준: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 관련 군인 봉급표] 2026.1. N. 개정 수치
단위: 원, 월지급액. 병(이병~병장) 봉급은 별도 체계이므로 본문에서는 제외합니다.
장교
- 소위 1호: 2,087,900 - 중위 1호: 2,239,600 - 대위 1호: 2,805,000
- 소령 1호: 3,382,700 - 중령 1호: 4,105,800 - 대령 1호: 4,671,200
- 준장 1호: 5,753,700 - 소장 1호: 6,099,000
부사관
- 하사 1호: 2,070,900 - 중사 1호: 2,118,000 - 상사 1호: 2,468,000
- 원사 1호: 3,568,100
- 준위 1호: 2,544,300
실무 포인트
- 군인은 직책수당, 비행·잠수·낙하 등 특수수당, 주·야·연속근무 가산 등 임무 성격 기반 수당 비중이 높습니다.
- 진급 간격·근속연수·임무 특성에 따라 총보수 편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2026 경찰, 소방 공무원 봉급표 - 핵심 구간 요약
기준: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0] 2026.1. N. 개정 수치
경찰과 소방은 계급 체계가 상응합니다. 단위는 원, 월지급액입니다.
순경·소방사 - 초급자 구간
- 1호: 2,000,900
- 10호: 2,590,200
- 20호: 3,280,600
- 23호: 3,437,300
경장·소방교
- 1호: 2,078,100
- 10호: 2,823,400
- 20호: 3,555,900
- 23호: 3,719,800
경사·소방장
- 1호: 2,319,000
- 10호: 3,165,800
- 20호: 3,972,700
- 25호: 4,251,100
경위·소방위
- 1호: 2,352,400
- 10호: 3,372,700
- 16호: 3,951,800
- 22호: 4,378,000
경감·소방경
- 1호: 2,607,300
- 10호: 3,691,600
- 16호: 4,299,000
- 22호: 4,738,800
경정·소방령
- 1호: 3,020,400
- 10호: 4,151,200
- 16호: 4,808,200
- 22호: 5,267,300
총경·소방정
- 1호: 3,496,600
- 10호: 4,710,600
- 16호: 5,428,700
- 22호: 5,910,600
실무 포인트
- 경찰·소방은 현장·특수근무수당, 시간외, 야간·휴일 가산 등 수당 구조의 영향이 큽니다. 동일 호봉이라도 근무형태·보직에 따라 실수령 차이가 크게 벌어질 수 있습니다.
- 초임-중간관리-지휘 계층으로 오를수록 정률·정액 혼합 수당의 합이 커지므로 총보수 관리에 근무표·복무계획이 중요합니다.
2026 교사 월급 - 유치원·초·중·고 교원 봉급표
기준: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 2026.1. N. 개정 수치
단위: 원, 월지급액. 시간제·기간제 특례는 비고 참조.
- 1호: 1,982,100
- 5호: 2,224,800
- 10호: 2,471,400
- 15호: 2,889,700
- 20호: 3,481,000
- 25호: 4,129,400
- 30호: 4,826,800
- 35호: 5,553,600
- 40호: 6,205,700
비고 핵심
- 기간제교원은 산정 호봉의 봉급을 지급하되, 기본적으로 고정급이며, 연금 수급 이력 등이 있는 경우 교육부장관 정하는 금액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시간제 기간제교원은 정상근무 기준 봉급월액을 근무시간 비례로 지급합니다.
실수령액 추정 - 구조와 계산 로직
주의: 아래는 구조 설명입니다. 개인별 공제·수당·지역 가산에 따라 숫자는 달라지므로, 실제 급여는 소속 인사·급여 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총지급(세전) 대략 구조
- 봉급(기본급) + 정액급식비 + 직급보조비 + 가족수당 + 교통보조비 + 정근수당·명절휴가비 등 정기수당 + 시간외수당(실적) + 특수·위험·교대·지방가산 등 직무·지역 가산수당
- 공제
- 소득세·지방소득세, 국민연금 또는 공무원연금·군인연금,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적용대상), 단체보험 등 선택 공제
- 실수령 추정 절차
- 해당 계급·호봉의 봉급을 확인
- 본인의 평균 시간외, 가족수당 대상, 지역·특수근무 여부를 반영해 수당 합을 더함
- 연금·건보·소득세·지방세·기타 공제를 차감
- 명절휴가비·정근수당 등 비월별 지급분은 연간 환산해 월평균으로 나눠 체감액을 추정
- 체감 주의점
- 같은 9급 1호라도 시간외 실적과 근무형태에 따라 월 20만~40만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정근수당·명절휴가비 등은 월 고정이 아니므로 월별 수령 체감이 들쑥날쑥할 수 있습니다.
- 공제는 부양가족 수, 소득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직렬·직급별 체크리스트
- 일반직
- 호봉승급 예정월, 승진 예측 구간, 시간외 한도 및 실제 집행률 확인
- 지방근무 시 가산수당 유무 확인
- 경찰·소방
- 야간·휴일·교대근무 비중과 실적수당 산정 방식 파악
- 위험·특수수당 적용 기준, 현장 보직 이동 시 수당 변화
- 군인
- 보직별 특수·임무수당, 전투임무수당 등 가산 항목 체크
- 진급·보직 이동 시 총보수 변화 시뮬레이션
- 교원
- 담임·보직·초과근무 수당 구조, 학기·방학 기간 초과·연가 활용 계획
- 기간제·시간제의 비례 산정 규칙 재확인
자주 묻는 질문(FAQ)
- Q1. 3.5% 인상은 모든 급여 항목에 동일하게 적용되나요?
- A1. 기본적으로 **봉급(기본급)**이 3.5% 인상되며, 수당은 각 지급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률 연동 수당은 일부 자동 상승하지만, 정액성·실적성 수당은 별도 규정 또는 실적에 따릅니다.
- Q2. 호봉 승급과 인상률이 겹치면 체감 인상은 얼마나 되나요?
- A2. 인상률 3.5% + 호봉승급 절대액이 합쳐져 체감 상승폭이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승급은 연 1호가 원칙인 만큼 실제 체감은 승급 시점에 좌우됩니다.
- Q3. 신규 임용 초임 실수령은 어느 정도로 보나요?
- A3. 직렬·보직·시간외·가족·지역 변수가 커서 일률 추정은 곤란합니다. 소속기관 최근 평균치나 전년도 동기 실사례를 참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Q4. 기간제교원·시간제교원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 A4. 기간제는 산정 호봉 봉급의 고정급 적용이 원칙이며, 시간제는 정상근무 기준 봉급월액을 근무시간 비례로 산정합니다.
결론
2026년 공무원 보수 체계는 3.5% 인상을 축으로, 일반직·경찰·소방·군인·교원 전 분야에서 봉급 격자 전체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민간 대비 보수 격차를 줄이려는 정책적 시도이자, 최근 물가·임금 흐름에 대한 부분 보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실무적으로는 다음 세 가지에 주목하십시오.
- 자기 계급·호봉의 기준봉급을 정확히 파악할 것.
- 수당 구조 - 정액·정률·실적·가산 항목별 적용 기준과 변동성을 이해할 것.
- 공제 체계 - 연금·건보·세금에 따른 실수령액 차이를 월·연간 관점에서 시뮬레이션할 것.
이 세 가지를 정확히 이해해야 연봉 협의, 가계재무 설계, 승진·전보 의사결정까지 흔들림 없는 숫자 기반 판단이 가능합니다. 본 글의 대표 구간 수치는 2026년 개정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원문 수치에 충실히 따랐으니, 필요한 분들은 소속기관 인사시스템 기준과 대조해 개인 사례에 맞춰 수당·공제 변수를 얹어 최종 실수령을 계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안 - 국무회의 의결 관련 설명 자료
-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3]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등의 봉급표 - 2026.1. N. 개정
-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0] 경찰공무원·소방공무원 및 의무경찰 등의 봉급표 - 2026.1. N. 개정
-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등의 봉급표 - 2026.1. N. 개정
- 군인의 봉급표(공무원보수규정 별표 체계상 군인 봉급 관련 부분) - 2026.1. N. 개정
'직업 직장 경제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교사 상여금 지급일 및 기간제 교원 명절수 (0) | 2025.09.10 |
---|---|
2026 공무원 임금 인상률, 정액급식비, 초과근무수당 인상 (0) | 2025.08.29 |
2026년 육군·해군 중령 진급 발표 명단은 없음 (0) | 2025.08.28 |
2025 기아 생산직 채용 정보 지원방법 (0) | 2025.08.23 |
경찰 계급체계, 직급체계, 계급표 완전 정리 (0)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