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나무 병충해 방제 약치는 시기
주요 살구의 병해 방제 약치는 시기
살구는 다양한 병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세균성 구멍병, 검은 별무늬병, 잿빛무늬병, 흰 가루병, 그리고 잎오갈병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됩니다. 이러한 병해들은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할 수 있으며,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가. 세균성 구멍병
- 증상: 잎과 과실에 발병하며, 잎의 병반은 갈색∼회갈색을 나타냅니다. 과실에는 작은 갈색 반점이 생기며, 큰 과실에서는 균열되기도 합니다.
- 예방법: 잎이 고사된 가지나 선단이 마른 가지를 제거하고, 과원 조성 시 방풍림을 설치합니다.
- 방제약제 및 시기:
- 발아 직전, 개화 직전, 낙화 직후: 6-6식 보르도액 또는 동제 사용
- 신초신장기(5월 중·하순): 농용신수화제 사용
- 과실 비대기(6∼7월): 6-6식 유산아연석회액 사용
- 낙엽 직후: 4-8식 보르도액 사용
나. 검은 별무늬병(흑성병)
- 증상: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하며, 특히 과실에 발병하는 것이 주요 문제입니다. 과실 꼭지 가까운 양광면에 병반이 나타납니다.
- 예방법: 발아 전 10일경에 석회유황합제 8∼10배액을 살포하고, 낙화 직후부터 수화유황제 및 유기유황제 농약을 살포합니다.
다. 잿빛무늬병(회성병, 균핵병)
- 증상: 꽃, 과실, 작은 가지에 발병하며, 과실에 피해가 가장 큽니다. 꽃에 발병하면 화기 전체가 갈변되며, 과실에 발병한 경우에는 넓은 범위의 병반을 보입니다.
- 예방법: 약제방제가 효과적이나 수확기의 저온 강우가 많으면 효과가 떨어지므로 경종적 대책 강구가 필요합니다.
라. 흰 가루병(백분병)
- 증상: 잎에 주로 발병하며, 과실에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과실에 나타나는 병반은 표면에 버짐 모양의 백색 반점이 나타나며 후에 갈변됩니다.
- 예방법: 발생 상습지의 경우 낙화 직후부터 10일 간격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이병과실을 발견 즉시 제거합니다.
마. 잎오갈병
- 증상: 주로 잎에 발병하며, 심한 발병 후에는 과실 비대가 불량해질 수 있습니다.
- 예방법: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 7∼10배액(보메 5 도액), 유기유황합제, 유기동제, 6-6식 보르도액 등을 살포합니다.
살구의 주요 해충 방제 약치는 시기
살구는 뽕나무 깍지벌레, 나무좀류, 그리고 복숭아 유리나방 등의 해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충들은 살구의 생장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제가 필요합니다.
가. 뽕나무 깍지벌레
- 특징: 굵은 가지의 표면에 기생하며, 수액을 흡수하여 수세가 급격히 쇠약해집니다.
- 방제법: 동계에 기계유유제 20배액을 살포합니다.
나. 나무좀류
- 특징: 줄기에 작은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가므로 곱고 가느다란 나뭇가루가 보입니다. 주로 북, 서쪽 부위에 피해를 줍니다.
- 방제법: 석회유황합제 7∼10배액을 살포합니다.
다. 복숭아 유리나방
- 특징: 유충이 주간부 또
는 주지 아래쪽을 주로 가해하며, 형성층을 먹어 들어가면 벌레똥과 수지가 나옵니다.
- 방제법: 성충 최대 발생기인 6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메프제 또는 아포진 100∼500배액을 살포합니다.
적절한 병충해 방제는 살구의 생육과 수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고, 주변 환경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IT 과학 공학 수학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소나무 종류, 곰솔 해송 (0) | 2025.08.03 |
---|---|
리액트 컴포넌트 테스트 자동화(Jest, React Testing Library)와 TDD 적용 예시 (0) | 2025.03.20 |
살구나무 묘목 심는 시기와 방법 (0) | 2025.03.11 |
살구나무 가지치기 시기 및 전지방법 (0) | 2025.03.09 |
지르코늄의 발견과 분리: 역사와 기술의 발전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