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살구나무 병충해 방제 약치는 시기

아ZN2 2025. 3. 14. 09:46
반응형

살구나무 병충해 방제 약치는 시기

주요 살구의 병해 방제 약치는 시기

살구의 병해 방제 시기

살구는 다양한 병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세균성 구멍병, 검은 별무늬병, 잿빛무늬병, 흰 가루병, 그리고 잎오갈병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됩니다. 이러한 병해들은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할 수 있으며,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가. 세균성 구멍병

  • 증상: 잎과 과실에 발병하며, 잎의 병반은 갈색∼회갈색을 나타냅니다. 과실에는 작은 갈색 반점이 생기며, 큰 과실에서는 균열되기도 합니다.
  • 예방법: 잎이 고사된 가지나 선단이 마른 가지를 제거하고, 과원 조성 시 방풍림을 설치합니다.
  • 방제약제 및 시기:
    • 발아 직전, 개화 직전, 낙화 직후: 6-6식 보르도액 또는 동제 사용
    • 신초신장기(5월 중·하순): 농용신수화제 사용
    • 과실 비대기(6∼7월): 6-6식 유산아연석회액 사용
    • 낙엽 직후: 4-8식 보르도액 사용

나. 검은 별무늬병(흑성병)

  • 증상: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하며, 특히 과실에 발병하는 것이 주요 문제입니다. 과실 꼭지 가까운 양광면에 병반이 나타납니다.
  • 예방법: 발아 전 10일경에 석회유황합제 8∼10배액을 살포하고, 낙화 직후부터 수화유황제 및 유기유황제 농약을 살포합니다.

다. 잿빛무늬병(회성병, 균핵병)

  • 증상: 꽃, 과실, 작은 가지에 발병하며, 과실에 피해가 가장 큽니다. 꽃에 발병하면 화기 전체가 갈변되며, 과실에 발병한 경우에는 넓은 범위의 병반을 보입니다.
  • 예방법: 약제방제가 효과적이나 수확기의 저온 강우가 많으면 효과가 떨어지므로 경종적 대책 강구가 필요합니다.

라. 흰 가루병(백분병)

  • 증상: 잎에 주로 발병하며, 과실에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과실에 나타나는 병반은 표면에 버짐 모양의 백색 반점이 나타나며 후에 갈변됩니다.
  • 예방법: 발생 상습지의 경우 낙화 직후부터 10일 간격으로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이병과실을 발견 즉시 제거합니다.

마. 잎오갈병

  • 증상: 주로 잎에 발병하며, 심한 발병 후에는 과실 비대가 불량해질 수 있습니다.
  • 예방법: 발아 직전 석회유황합제 7∼10배액(보메 5 도액), 유기유황합제, 유기동제, 6-6식 보르도액 등을 살포합니다.

살구의 주요 해충 방제 약치는 시기

살구는 뽕나무 깍지벌레, 나무좀류, 그리고 복숭아 유리나방 등의 해충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충들은 살구의 생장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제가 필요합니다.

가. 뽕나무 깍지벌레

  • 특징: 굵은 가지의 표면에 기생하며, 수액을 흡수하여 수세가 급격히 쇠약해집니다.
  • 방제법: 동계에 기계유유제 20배액을 살포합니다.

나. 나무좀류

  • 특징: 줄기에 작은 구멍을 뚫고 먹어 들어가므로 곱고 가느다란 나뭇가루가 보입니다. 주로 북, 서쪽 부위에 피해를 줍니다.
  • 방제법: 석회유황합제 7∼10배액을 살포합니다.

다. 복숭아 유리나방

  • 특징: 유충이 주간부 또

는 주지 아래쪽을 주로 가해하며, 형성층을 먹어 들어가면 벌레똥과 수지가 나옵니다.

  • 방제법: 성충 최대 발생기인 6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메프제 또는 아포진 100∼500배액을 살포합니다.

적절한 병충해 방제는 살구의 생육과 수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고, 주변 환경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